준비 유리선택 가공 시공 운반및보관

1. 시공준비

  • 1) 규격을 확인한다.
  • 2) 제품의 내구성능의 유지를 위하여 다음 항목을 확인한다.
    • - 내풍압성:설계풍압에 대한 강도를 확인한다.
    • - 수밀성:예상되는 폭풍우의 강우량과 유리끼우기가 적합한지 확인한다.
    • - 열파손:색유리에 대해서 열충격 강도를 검토하여 안전성을 확인한다.
  • 3) 강우,강풍 및 강설시에는 시공을 중지한다.
  • 4) 강우,강풍 및 강설 직후의 시공은 작업 발판의 안전성의 확인과 샤시 홈 내부에 습기가 남아있기 때문에 작업전에 충분한
        건조 작업을 하여야 한다.

2. 재 료

각종 유리는 도면에 표시된 두께의 KS 제품으로 지정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며 유리 색상은 담당자의 지시에 따른다.
준비 유리선택 가공 시공 운반및보관

1. 강화유리

  • 1) 일정 두께의 유리를 강화 처리한 것을 사용하고 제품은 KS L 2002 강화유리에 적합한 강화 유리를 사용하며 감리원이 승인하는 회사 제품을 사용한다.
  • 2) 사전에 풍압 계산을 시행하여 내풍압 강도시험에 합격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풍압 계산서 및 각종 시험성적서를 감리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얻은 후 사용한다.
  • 3) 설치 시공할때 필요한 모든 금물은 사전에 샘플 및 시공 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리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득한후 사용한다.

2. 복층유리

  • 1) 복층유리는 KS L 2003 복층 유리에 준하여 구성되는 유리의 두께,색상 및 강화처리 등의 재질은 도면을 기준하고 도면에 명기되지 않은 경우는 감리원의 승인을 득한 후 결정한다.
  • 2) 복층유리는 사전에 시공도를 작성하여 감리원의 승인을 득한후 사용한다.
  • 3) 복층유리는 건조재가 내장된 알루미늄 스페이서(SPACER)를 끼우고,그사이를 강력접착제로 봉합하고 내부면은 철저히 세척하여 선명하여야 하며 내부에는 깨끗한 건조공기를 주입하여 밀봉하며 영하 60℃ 에서도 이슬이 맺히지 않아야 한다.
  • 4) 열관류 율은 2.7㎉/㎡ h.℃ 이하의 것을 사용한다.

2. 유리의 종류

  • 1) 로이유리(Low Emissivity Glass)

    로이유리에 사용되는 원판은 투명 혹은 색유리이며, 로이코팅은 진공상태에서 이온 스퍼터링 (Ion Sputtering) 공법에 의하여 소프트 코팅(Soft-Coating)으로 은(Ag)막 코팅을 한 후 다층구조의 금속 코팅을 한 것으로 복층유리 제작시 코팅면은 #2또는 3면에 위치하도록 한다.
  • 2) 복층유리(pair glass/sealed insulating glass)

    • - 2차 접착제 : 종류에 따라 폴리설파이드계 또는 실리콘계의 구조용 실란트를 구분하여 사용한다.
    • - 스페이서 : Tubular Aluminum으로 두줄의 흡습구멍을 천공한 후 Auto-Bending하여 스페이서 접합부를 고주파 용접으로 마감한 HP 스페이서를 사용한다. 스페이서 접합부는 치오콜 또는 실리콘 코킹방향에 위치하여야 한다.
    • - SEALING : 반드시 진공Pump(Mixer)로 혼합한 후 Sealing할 것.
  • 3) 강화 유리 ( Tempered Glass )

    성형 판유리를 연화온도(軟化溫度)에 가까운 500∼600 ℃로 가열하고, 압축한 냉각공기에 의해 급랭시켜 유리 표면부를 압축변형시키고 내부를 인장변형시켜 강화한 유리 보통 유리에 비해 굽힘강도는 3∼5배, 내충격성도 3∼8 배나 강하며, 내열성도 우수

※ <참고> 유리 확인 공정

Low-E 유리 공정 시 검측기를 통한 유리 검사 실시

  • 일반칼라유리일반 칼라 유리
  • LOW-E 유리LOW-E 유리
준비 유리선택 가공 시공 운반및보관
  • 1) 절단

    • - 절단가공의 정밀도는 KS L 2012(플로트 판유리 및 마판유리)에 따른다.
    • - 절단각도에 대해서 45° 이상 135° 이하로 한다. 이 범위 이외의 각도 및 곡선절단에 대해서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.
  • 2) 표면가공

    • - 샌드 블라스트 가공에 있어서는 가공깊이는 두께의 1/12 미만으로 하고 1매의 유리에 대한 가공개소는 응력집중이 생기지 않도록 가능한 균등하게 배치한다.
    • - 태피스트리(tapestry) 가공은 샌드 블라스트 가공을 한 후 산으로 에칭처리한 것을 말한다. 이 경우 가공깊이는 판두께의 1/10 미만으로 한다.
    • - 샌드 블라스트 가공 또는 태피스트리(tapestry)가공을 실시한 것의 강도상의 취급은 형판유리에 준한다.
  • 3) 강화유리 가공

    • - 강화유리의 치수 정밀도는 KS L 2002(강화유리)에 따른다. 단, 3000mm를 넘는 것 및 곡면 강화유리는 설계도서 또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.
    • - 절단, 절단면처리, 구멍뚫기, 따내기 등은 강화시공 전에 지정한다.
  • 4) 복층유리 가공

    • - 1차 접착제는 폴리이소부틸렌(polyisobutylene)계 실란트로 고형성분과 휘발성분이 각 1.0% 이하이고 비중이 1.05 이하의 품질이어야 한다.
    • - 2차 접착제는 폴리설파이드(polysulfide)계와 실리콘계의 실란트가 구별, 사용되며 폴리설파이드는 전단강도 6.0㎏/㎠ 이상, 불휘발성분 85% 이상, 사용가능한 시간 50분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.
    • - 흡습제는 대기중에 30분 이상 노출되지 말아야 하며 고온의 드라이오븐에 보관한 것을 사용해야 한다.
준비 유리선택 가공 시공 운반및보관

1. 시공재료

  • 1) 세팅 블록(setting block)

    • - 재료는 네오프렌, 이피디엠(EPDM) 또는 실리콘 등으로 한다.
    • - 길이는 유리면적 900㎠당 2.5mm 이상이어야 하며 10cm 보다 작아서는 안된다.
    • - 쇼어(shore)경도가 80°∼90° 정도이어야 한다.
    • - 폭은 유리두께보다 3mm 이상 넓어야 하고, 새시폭보다 1.6mm∼3mm 적어야 한다.
  • 2) 실린트(sealant)

    • - KS F 4910(건축용 실란트)규정에 합격한 것이나 동등 이상의 품질이어야 한다.
    • - 다른 시공재료와의 시공성에 대한 검토후에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.
    • - 프라이머를 사용할 경우 프라이머는 작업하기 적합한 점도를 가지며, 접착 성능이 우수해야 하며 사용가능 시간이 충분해야 한다.
    • - 주제와 경화제의 분리여부에 따라 1액형과 2액형이 있으며 초산타입 및 비초산타입이 있으므로 시공조건에 따라 선택한다.
  • 3) 백업재(back up)

    • - 재료는 단열효과가 좋은 발포에틸렌계의 발포재나 실리콘으로 씌워진 발포 우레탄 등으로 담당원의 승인을 받은 후 결정한다.
    • - 백업재는 3면 접착을 방지하고 일정한 시공면을 얻기 위해 사용되며, 변형 줄눈을 조정하고 줄눈깊이 조정을 위해 충전한다.

2. 시공전 준비사항

  • 1) 샷시의 홈 내부에 수분,이물질,배수구멍 등을 점검하여 이상유무를 확인한다.
  • 2) 샷시와의 접촉부분에 예리한 물건이 닿아서 유리에 결함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.
  • 3) 샷시와 유리를 중심으로 제품을 바르게 보전하기 위하여 클리어런스를 확보한다.
  • 4) 유리중량이 큰 경우와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압축기 등을 사용하여 유리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.

3. 마스킹 테이프 부착

적당한 규격의 재료를 무리하게 삽입하지 말 것이며 4면에 균등하게 시공되어야 한다.

4. 유리끼우기

  • 1) 강재 창호에 유리를 끼울때는 미리 유리끼우기 홈에 폴리에티렌 계통의 충진제를 사용하여 개폐시 유리의 파손이나 충격에 안전 하도록 한다.
  • 2) 강재 유리끼우기용 코킹재는 특기 없는한 실리콘계 코오킹을 사용하며,그 넓이 및 폭은 유리 양면에 일매지게 밀착시켜 유리의 이동을 방지하며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.
  • 3) 스테인레스 창호용 유리와 복층유리 ,강화유리,색유리는 PAC 고정용 퍼티를 사용치 않고 양질의 실리콘계 실란트를 사용하며 규격은 5mm×5mm를 기준하고 색상은 견본품에 의해 감리원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.
  • 4) 스테인레스 창호용 유리와 복층유리 ,강화유리,색유리는 PAC 고정용 퍼티를 사용치 않고 양질의 실리콘계 실란트를 사용하며 규격은 5mm×5mm를 기준하고 색상은 견본품에 의해 감리원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.
  • 5) 대형유리의 절단면은 그라인더 등으로 매끈하게 다듬는다.

5. 양 생

  • 1) 경화될때까지 먼지의 부착,손상,오염등이 되지 않도록 미리 비닐로 금속을 보호 하여야 한다.
  • 2) 시공부위는 안전을 위해 테이프를 프레임에 부착하여 이를 표시하고 유리에 직접 표시하거나 부착하지 않는다.
  • 3) 이미 설치된 유리는 중성세제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닦아 주어야 한다.
  • 4) 작업원의 통행이 빈번한 장소에 시공된 유리면에는 작업원이 인식 할 수 있도록 표식을 한다.
준비 유리선택 가공 시공 운반및보관
  • 1) 판유리의 운반은 크기, 무게, 현장상황과 운반 거리 등에 따라 적절한 운반방법을 선택한다.
  • 2) 현장에 반입되는 모든 재료는 제조회사의 상표가 표기되어 있어야 하며, 목제상자, 파렛트로 운반해온 유리는 그대로 보관한다.
  • 3) 현장반입시 손상의 유무, 수량 등에 대해 담당원의 확인을 받는다.
  • 4) 목제 상자, 파렛트가 없는 경우 벽, 바닥에 고무판, 나무판을 대고 유리를 세워두며 유리와 유리 사이에는 종이를 끼워 보관한다.
  • 5) 모든 입고품은 확인을 실시하며, 의심스러운 상자는 분리하여 검사한다. 특히 유리에 대해서는 규격 검사를 명확히 한다.
  • 6) 적치와 중간취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반입 수송계획을 수립하고, 층별 운반 계획도 고려한다.
  • 7) 유리의 보관은 시원하고 건조하며 그늘진 곳에 통풍이 잘 되게 하고, 직사광선이나 비에 맞을 우려가 있는 곳은 피해야 한다.
  • 8) 즉시 사용하지 않을 유리는 비닐이나 방수포로 덮고, 상자 내의 열집적방지를 위해 상자 사이의 공기순환을 고려하여 적치한다.
  • 9) 사용 실란트, 가스켓 등 사용부자재의 성능에 대한 시험결과를 제조업자로부터 자재 반입시 함께 받는다.
  • 10) 복층유리는 20매 이상 겹쳐서 적치하여서는 안되며 각각의 판유리 사이는 완충재를 두어 보관한다.